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역발상투자2

버핏지수, 시장을 읽는 가치판단 잣대 워런 버핏은 “경제라는 나라 전체 파이와 증시라는 조각 케이크의 크기를 견주어 보면 거품 여부를 가늠할 수 있다”는 말을 자주 남겼습니다. 이 통찰에서 파생된 것이 바로 ‘버핏지수’입니다. 계산식은 의외로 단순합니다. 한 나라 상장 기업들의 시가총액을 모두 합산하고, 이를 같은 기간 국내총생산으로 나눕니다. 2025년 현재 미국 증시는 GDP의 170% 수준을, 한국 증시는 96% 안팎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100%를 기준선으로 삼아 그 이상이면 주가가 경제 규모에 비해 팽창했고, 그 이하면 저평가됐다는 해석이 일반적입니다. 버핏은 거시 통계와 기업 밸류에이션을 잇는 다리로 이 지표를 제시했으며, 2000년 닷컴버블 당시 150%를 돌파했던 수치가 이후 주가 폭락으로 이어졌다는 사실이 지표의 신뢰도를 높.. 2025. 10. 6.
공포탐욕지수, 시장 심리를 숫자로 읽는 법 투자 시장에는 언제나 두 감정이 교차합니다. 공포는 자산을 던지게 만들고, 탐욕은 가격이 치솟아도 더 사게 만듭니다. 워런 버핏이 “남들이 두려워할 때 탐욕을 부려라”라고 충고한 까닭도 바로 이 집단 심리의 왜곡에 있습니다. 그러나 막상 개인이 체감하는 공포와 탐욕은 막연한 느낌에 머무르기 쉽습니다. CNN비즈니스·얼터너티브·두나무 세 기관이 제공하는 공포탐욕지수는 이 막연함을 숫자로 치환해 줍니다. 0에 가까우면 ‘극심한 공포’, 100에 근접하면 ‘극심한 탐욕’으로 표시되어 시장 정서를 한눈에 보여 줍니다. 특히 2025년 들어 글로벌 주식과 암호화폐가 따로 노는 흐름이 잦아지면서, 투자자는 자산별 지수를 교차 확인해 심리 온도를 세밀하게 읽을 필요가 커졌습니다.숫자 뒤에 숨은 계산식지수가 단순 설문.. 2025. 10. 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