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건설공사비2

2025년 하반기 건설 노임단가 보기 건설 노임단가는 1일 8시간 기준으로 각 직종 근로자에게 지급해야 할 평균 임금을 국가 공사비 산정의 공식 잣대로 제시한 것입니다. 2025년 하반기 발표치에 따르면 보통인부 하루 17만 8천 여 원, 형틀목공 25만 9천 여 원, 철근공 25만 3천 여 원 등 127개 직종 평균이 27만 7천 여 원에 이르며 상반기보다 3 % 남짓 올랐습니다. 물가 상승과 숙련 인력 부족이 겹치면서 노무비 비중이 공사 원가의 핵심 변수로 떠오른 지금, 최신 단가를 정확히 이해하는 일은 발주처·시공사·근로자 모두에게 필수 과제가 되었습니다. 아래에서는 노임단가가 만들어지는 과정과 2025년 하반기 수치를 현장에 적용하는 방법, 그리고 2026년을 향한 전망까지 차근차근 짚어 보겠습니다.노임단가의 의미노임단가는 하루 품값.. 2025. 10. 18.
표준품셈 일위대가 비교 정리 표준품셈은 공사 노무량과 장비 투입 기준을 국가가 공인한 단위당 작업량 지표로 묶어 놓은 용어입니다. 여기에 지자체가 고시한 자재 단가를 곱하면 ‘일위대가’라는 실제 공사비 산출표가 완성됩니다. 두 기준은 한몸처럼 언급되지만, 적용 주체·수정 주기·가격 반영 방식이 전혀 다릅니다. 이번 글에서는 품셈과 일위대가가 어디서 갈라지고 현장에서는 어떻게 만나는지를 자연스럽게 풀어 보았습니다.표준품셈표준품셈은 국토교통부가 매년 고시합니다. 토목·건축·조경·전기처럼 공종별로 나뉘어 한 작업단위를 완료하는 데 필요한 인력·장비 투입 시간을 숫자로 제시합니다. 예를 들어 150㎜ PVC 배수관을 1 m 매설하려면 숙련공 0.12인, 보통인부 0.25인, 굴착기 0.05대가 필요하다는 식입니다. 이 값은 설계 경제성 검.. 2025. 10. 16.
반응형